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야기 주머니16

가야금 학습 : 산조/정악/기초 전통악기 가야금, 가야금이란 무엇인가요? 1.가야금의 정의 2.가야금의 종류 3.연주법 및 악보 . . . 1.가야금의 정의 어릴 적 이것저것 배웠었는데 그중에 악기류를 따지자면 피아노랑 가야금을 칠 수 있습니다. 둘 다 겨우 악보를 떠듬떠듬 읽으면 연주한다기보다는 말 그대로 친다라는 느낌이라 집에서나 혼자 즐기는 정도인데요. 가야금은 처음 배울 때가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나무로 만들어지고 보기에도 나무다! 싶은 악기가 있다니. 심지어 내가 그런 악기를 만지고 음을 만들어 연주를 한다는 점이 너무 신기하게 느껴졌어요. 가야금은 가얏고라고도 불리기도 하는 현악기로 국악에 사용되는 발현악기 중 거문고와 함께 유명한 악기입니다. 보기보다 배우기가 쉽고 중국의 쟁, 일본의 고토와 같이 동아시아 전통 음악에 널.. 2024. 3. 4.
12간지 십이지 : 띠/순서/한자/설화 똘기 떵이 호치 새초미 자축인묘~ 1.십이지 2.십이지 순서 및 설화 3.십이지의 상징 . . . 1.십이지 어릴 적 꾸러기수비대를 보신 분들 계신가요? 보지 않으셨어도 노래는 기억할 텐데요. 이 십이간지 노래로 자신의 띠나 남들과 띠 이야기를 한때 그 순서를 세어보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노래 없이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술술 외우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저는 알파벳 순서를 외우듯이 십이간지를 셀 때는 노래를 안 외우면 순서가 계속 기억이 안 나더라고요;; 십이지는 동아시아 율력 체계에서 사용되는 간지에서 뒤쪽의 열두 가지를 의미하는데요. 십이지간이라고도 부르고 뒤에 십간을 붙여 갑자부터 계해까지 육십갑자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서양에서는 명칭을 달리하.. 2024. 3. 3.
생활의 팁<2> : 주관적/이모저모/주절주절 게시물 작성이 귀찮은 오늘, 뇌디스크 정리일! 1.달리기 성인이 되고서도 대학생이라면 학과 행사 등에서 직장인이어도 늦었을 때, 정말 아주 가끔 있는 사내행사에서 달릴 일이 있기는 하죠. 학생 때는 두말할 것도 없이 수업 중에 쉬는 시간에 달리기를 할 경우가 많은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움직이는 걸 좋아하고 쉬는 시간만 되면 자리에 가만히 앉아있지를 못해서 꼭 친구들을 졸라 강당에 데려가 배드민턴을 하든 농구를 하든 그냥 술래잡기를 하든 어떻게든 움직이려 했는데요. 어째 나이가 들어도 술래잡기와 쓸데없는 놀이들은 왜 이리 재미있는 건지 평생 철이 안들 건가 봐요. 저처럼 운동을 좋아하거나 자주 하고 전문적으로 배우신 분들이라면 달리는 속도가 평균적으로 빠르겠지만 운동을 자주 안 하거나 싫어하신다면 체육시간.. 2024. 3. 2.
삼일절 : 국경일/3월1일/독립선언 대한민국이 부활한 성스러운 날, 독립선언일 1.삼일절이란? 2.삼일절의 역사 3.문화 및 기타 . . . 1.삼일절이란? 다들 집에서 평화로운 휴일을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과 같은 날 1919년 3월 1일에는 당시 일본의 지배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3.1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삼일절은 대한민국의 국경일로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3월 1일을 독립선언일로 지정하며 시작되었는데요. 해방 이후 1946년부터는 미군정 군정 법률 제2호를 통해 국가경축일로 지정되기도 했으며 이후 대한미국 정부 수립 직후 1949년 국경일 관련 법률로 계승되었습니다. 저는 일반상식이나 시사상식이 부족한 편이라 흔히들 물어보는 우리나라를 큰 단위로 나눈 북부, 중부, 남부가 각각 지도에서 어디에 있는지, 우리.. 2024. 3. 1.
728x90
반응형